Research
친환경 탈탄소화
Decarbonization
과거 선박에 탑재되는 공정(프로세스)은 연료 공급 공정 정도에 그쳤으나 2000년대 이후 환경 이슈들이 대두되면서 매우 다양한 공정이 선박에 탑재되거나 탑재가 고려되고 있습니다. 이 중 일부는 육상/해양을 가리지 않고 적용이 가능한 경우도 있으나 선박 및 해양플랫폼에서는 입력조건 및 제약조건이 변화하여 이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제대로 된 설계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이슈가 심화되면서 탄소 저배출 에너지원(LNG 등), 탄소 미배출 에너지원(수소 등), 탄소 포집 전환 및 저장(CCUS)연구, 오염물질(NOx, SOx 등) 배출저감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 탄소 저배출 에너지원 (LNG 등) 유관 연구
LNG수송선/추진선 LNG공급 및 증발가스(BOG) 재액화 공정 설계/제어/최적화
- 탄소 미배출 에너지원 (수소 등) 유관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 전환, 저장 (CCUS) 유관 연구
- 기타
오염물질 배출 저감공정 연구: SOx scrubber, NOx 저감 EGR, SCR 공정 설계/최적화
디지털화
Digitalization
현실 공정을 직접 구현해서 최적의 설계 조건을 찾는 것은 막대한 비용과 리스크를 가지게 되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디지털 모델이 필요하게 됩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공정의 거동을 수학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하여 실제 설비를 구축하지 않고서도 최적의 설계 및 운전 조건을 도출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모델링
해양플랫폼 해저-상부공정 통합 모델링
- 시뮬레이션
LNG벙커링 시스템 동적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최적화, 제어
열교환기 레이어 최적설계
컴프레서 서지방지 운전제어 및 가이드라인
분석방법론 개발
Methodology Development
모델링을 하기 위해서 기존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원하는 기능이 구현된 프로그램이 없거나, 정확도에 문제가 있거나, 성능 개선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설계 결과를 분석하고 최적화 하기 위해서는 기존 방법론과 별개로 새로운 관점에서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목적을 충족하기 위한 여러 방법론 또한 개발 제시하고 있습니다.
- 비용기반 기술경제성(Techno-economic) 최적화 방법론
- 예측설계, 예방설계 방법론
- 기계학습 기반 열역학 물성 연산 모델 개발
- 액화공정 리스크 평가 방법론 개발
- MDIRECT최적화 알고리즘 개발